본문 바로가기

근대와 식민의 서곡 - 김동노

오랜 '읽을 책' 리스트의 한 권이었던 이 책을 드디어 구입해 읽었다. 구입이 늦어진 이유는 따로 없지만 이상하게 차일피일 미루다 보니 이제야 읽게 된 것. 읽을 책 목록을 쓰던 초기부터 적혀 있었던 것 같다.

책에서 다루는 시기는 조선말/대한제국기로, 일제 강점이 시작되기 이전 국내에서 일어났던 변화에 대한 시도들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급진적인 위로부터의 개혁이었던 갑오개혁부터 농민들의 아래로부터의 개혁인 동학농민운동을 다루며, 조선시대 농업 중 쌀(혹은 지주)을 중심으로 이 부분 역시 어떻게 근대화를 위한 변화를 꾀했는지 설명한다. 또한 상업자본이 조선후기/대한제국기에 정상적으로 발전하지 못했던 이유에 대한 언급도 있다.

 

저자는 당시 우리나라의 지식인 혹은 국민들은 그저 손 놓고 일제 강점을 맞이하고, 일제 강점기로 인한 근대화가 우리나라에서 시작되었다고 말하지 않는다. 각계에서 개혁에 대한 의지와 시도는 있었지만, 한 방향으로 에너지를 집결을 하지 못했고 개혁을 위한 역량부족이 개혁에 대한 좌절로 이어지고, 그 이후 결국 일제 강점체제 아래로 들어갔다고 글을 마무리 짓는다.

 

근현대사를 읽다 보면 언제나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것이 사실이지만, 당시와 같이 열강들의 힘겨루기가 비슷하게 벌어지는 요즘의 현실을 보며 뭔가 그래도 당시의 실패로부터 다시 잘 보며 되새겨 봐야 할 것들이 있지 않을까 생각도 들었던 이번 책 읽기였다.

 

아래는 책 읽으며 눈에 들어오는 내용들을 옮겨봤다.

 

 

대한제국에 있어 식산흥업은 서구의 근대화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사적 영역의 개인적 경제행위가 아니라 국가의 발전을 위한 공적인 성격을 어느 정도 내포하고 있었다.

 

식민화 전후는 단절보다는 연속에 가까워 보인다. 새롭게 시도된 근대의 도입이 19세기 후반 조선의 많은 영역에서 이미 이루어지고 있었고, 때로는 이 시도가 성공적이기도 했고 때로는 실패로 끝나기도 했다. 식민화를 전후한 근대의 연속성을 가정한다면 식민화 전후의 차별성은 근대를 도입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근대를 정착시킬 수 있는 역량(Capacity)에서 찾을 수 있다. 가령, 갑오개혁에서 중앙집권화된 근대적 국가구조를 정착시키려 했지만 결국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는데, 일제는 조선을 식민지로 만든 이후 이를 가장 주된 식민지 운영전략으로 설정하여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다. 조선정부는 자율적 근대화를 시도하려는 의지가 부족했던 것이 아니라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역량이 부족했던 것이다. 바로 이러한 역
량의 부족으로 인해 조선은 근대의 세계를 식민이라는 왜곡된 형태와 경로를 통해 받아들이게 되었던 것이다.

 

이 시기의 주된 사회적 행위자였던 위정척사의 유학자, 개화파, 농민, 보수 관료 등은 서로 다른 민족주의를 발전시킴으로써 민족주의의 통합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 민족적 통합의 대상에 포함될 '우리'의 범주를 서로 다르게 규정함으로써 위기 극복을 위한 이들의 노력이 한계를 보인 것이었다.

 

 

네이버 쇼핑 갈무리